[여의도풍향계] 지방선거 폐막하자 당권 경쟁 개막…격랑의 여의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선거가 끝났지만 정치권이 연일 시끄럽습니다.<br /><br />권력 재편 과정에서 여야 모두 당내 주도권 경쟁에 불이 붙은 모습인데요.<br /><br />해묵은 갈등과 원색적인 비난이 재연되면서 민생은 외면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이번 주 여의도 풍향계에서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변화와 개혁 그리고 쇄신'. 정치권의 오랜 수사(修辭)이자 되풀이돼 온 약속입니다.<br /><br />4년 전과 정반대의 엄중한 민심을 목도한 6·1 지방선거가 막을 내린 뒤, 여야가 숙원 사업처럼 또 한 번 내건 과제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금 여의도에선 기대와 달리, 신의를 저버린 '이전투구'가 펼쳐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선에 이어 또 한 번 전국 단위 선거 승리를 거둔 국민의힘. 그런데, 잔칫집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준석 대표는 지방선거 직후 개혁 이슈를 선점하며 혁신위원회 출범을 띄우고, 우크라이나행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정당 차원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어떤 방면을 지원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 본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…"<br /><br />이를 두고 국회 부의장 출신의 5선 정진석 의원은 '자기 정치'가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했는데, 갈등의 시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 대표는 '어차피 기차는 간다'고 응수했습니다. 김영삼 전 대통령이 하나회 척결 과정에서 발언한 "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린다"를 인용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정 의원은 "정치 선배의 우려를 '개소리'로 치부하는 만용"이라고 맞받았습니다.<br /><br />거친 설전으로 갈등은 확전을 거듭한 가운데, 한편에선 '이준석 발' 혁신위에 대한 또 다른 견제구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에 새롭게 합류한 뒤 차기 당권주자로 떠오른 안철수 의원은, 공천 외에도 포괄적 혁신 노력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선거 제도나 공천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. 혁신이 필요한 굉장히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. 그 부분까지 포괄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…"<br /><br />선거 승리를 이끈 젊은 장수와 이른바 '친윤석열계' 의원들, 여기에 유력 차기 주자까지, '삼파전'이 벌어진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이 대표는 당권 경쟁 구도에 대해서는 선을 긋고, 정치개혁 추진 의지를 피력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 "'이겼는데 내려와라' 이런 얘기하는 사람들 있거든요. 정말 어이없습니다. 지금부터 정치개혁, 정당개혁에 매진하겠습니다."<br /><br />한때 '20년 장기 집권'을 외쳤던 더불어민주당은 매서운 민심의 회초리 앞에 고개를 숙였습니다.<br /><br />대선 결과로 나타난 민심의 심판에 반성하지 않던 민주당은 지방선거 역시 참패하자 휘청였고, 기존 비상대책위원회는 책임을 지고 물러났습니다.<br /><br />반성과 쇄신을 재차 약속한 민주당은 우여곡절 끝에 '586' 대표주자, 우상호 의원을 필두로 새 비대위의 닻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 "민주당의 색깔을 놓치지 않으면서 선거에 진 패인을 분석해 거듭나는 모습을 만드는 데 제 역할을 다 하겠다는 각오를 갖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8월 전당대회까지 두 달여 간 활동할 민주당 비대위의 최대 관건은 결국 내분 수습.<br /><br />하지만 당권주자 후보군만 10여 명이 거론되는 가운데 또다시, 해묵은 계파 갈등이 고개를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지방선거를 진두지휘했던 이재명 의원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, 이른바 '친명'이냐 '반명'이냐를 놓고 내홍이 격화한 겁니다.<br /><br />이 의원을 공개 저격한 친문계 홍영표 의원의 사무실에 조롱성 글이 적힌 대자보가 붙는 등 사태가 악화하자, 친명계는 일단 몸을 낮췄습니다.<br /><br />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신경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개인적 의견을 얘기하면 그게 또 논란이 돼요. 당 구성원의 60~70% 가까운 분들이 공감대를 형성한 경우에만 룰을 변경할 수 있죠."<br /><br />잇따른 선거 패배에 대한 성찰과 반성보다는 당권 향배를 둘러싼 혼란만 가중되고 있어, 당분간 당내 구심점 찾기는 난망한 상황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유감스럽게도 정당 내 주도권을 둘러싼 이같은 아귀다툼은 이미 처음 보는 모습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보수 정당에선 과거 '친이'·'친박' 간 갈등이 불거졌고, 민주당에선 '친문'과 '비문' 간 대립 구도가 형성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편 가르기 정치와 극한 대립 속에, 정작 쇄신의 첫걸음인 국회 정상화는 멀어졌습니다.<br /><br />21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과 민생 법안 처리는 뒷전으로 밀려났고, 국회가 공백 상태를 이어가며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도 줄줄이 연기됐습니다.<br /><br />이겼지만 겸손이 없고, 졌지만 반성이 없는 여야.<br /><br />매미를 노리는 사마귀가 등 뒤의 참새를 보지 못하듯, 눈앞의 실리에 천착해 정작 싸늘한 민심은 보지 못하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미워도 다시 한번, 변화를 기다리는 국민 앞에 쇄신을 향한 약속의 무게를 천금같이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#국민의힘 #민주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